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워킹맘(Working Mom)**들은 직장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는데요. 특히 육아와 업무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이익과 편견은 직장 내 성평등을 실현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됩니다.
오늘은 워킹맘이 직장에서 겪는 성별 차별 사례, 성평등을 위한 정책 변화, 그리고 실질적인 해결책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워킹맘이 직장에서 겪는 성별 차별의 사례
많은 워킹맘들은 직장에서 보이지 않는 장벽을 마주하게 됩니다. 출산과 육아를 이유로 경력 단절 위험을 겪거나 승진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워킹맘들이 직장에서 경험하는 대표적인 차별 사례입니다.
✅ 대표적인 성차별 사례
🔸 승진 및 평가에서의 불이익
"출산 후 복직했는데, 승진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동일한 성과를 내도 ‘육아로 인해 업무 집중도가 낮다’는 이유로 평가가 낮아졌습니다."
🔸 유연 근무에 대한 편견
"육아로 인해 단축 근무를 신청했더니 ‘조직에 대한 책임감이 부족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재택근무를 하면 일을 제대로 안 할 거라는 의심을 받습니다."
🔸 직장 내 분위기와 차별적 문화
"육아휴직을 쓰겠다고 하니 ‘회사 눈치는 안 보냐’는 말을 들었습니다."
"회의 시간이나 야근이 잦은 프로젝트에서 자연스럽게 제외됩니다."
📌 핵심 포인트:
워킹맘들은 승진, 업무 배정, 근무 환경에서 다양한 차별을 경험하며, 이는 직장 내 성평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됩니다. 우스갯 소리로 단축 근무가 아닌 '압축 근무'라는 말이 있죠. 실제로 저도 경험한 내용인데요. 단축 근무를 한다고 해서 결코 업무가 줄어드는 것이 아닙니다. 업무량은 그대로인데 업무 시간만 줄다보니, 업무 시간에 정말 쉴 틈 없이 일하게 됩니다.
2. 성평등을 위한 직장 내 정책과 변화
이러한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기업과 정부에서는 성평등을 위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만으로는 부족하며, 실질적인 조직 문화의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성평등을 위한 주요 정책 및 변화
🔹 출산 및 육아휴직 제도 강화
- 출산·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 (특히, 남편들이 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문화나 사회적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법으론 존재하지만 실제로 주변에서 육아 휴직을 사용하는 남편들의 사례는 극히 드물죠.. 나라에서 강제로 쓰게 하면 좋겠네요 ㅎㅎ)
- 육아휴직 후 원하는 시점에 복직할 수 있는 제도 마련
🔹 탄력 근무제 및 유연 근무제 확대
-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제, 단축 근무제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 (특히 아기가 36개월 이하로 어린 경우, 어쩔 수 없이 어린이집에 보낸다고 하더라도, 너무 긴 시간 맡기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나라에서 단축근무 허용 범위를 늘려 주면 좋을 것 같아요. 공무원을 제외하고 일반 사기업에서는 나라에서 정해진 1년만 사용 가능하고, 그것도 불가한 경우가 많은데요. 워킹맘이 실제로 복직하여 아기와 보낼 수 있는 시간은 하루에 많아야 3~4시간 정도여서, 아기가 커가는 모습을 제대로 못 본다는게 너무 아쉽습니다.)
- 유연 근무를 사용하는 직원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평가 기준 개선 (저도 경험한 바지만, 단축 근무나 휴직 등을 사용한 직원은 형평성을 문제로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는 실정이더라고요. 양쪽 다 이해는 갑니다만,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 승진 및 평가에서의 성평등 원칙 강화
- 성별과 무관하게 실적과 능력만으로 승진 기회 제공
- 육아휴직 후 복귀하는 직원이 경력 단절 없이 기존 업무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
🔹 성평등 문화 조성
- 워킹맘과 워킹대디 모두가 육아를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기업 문화 형성
- 차별적 발언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 및 캠페인 강화
📌 핵심 포인트:
제도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의 문화 변화와 인식 개선이 병행되어야 성평등이 실현될 수 있습니다.
3.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해결책 제시
워킹맘으로서 직장에서 성평등을 지키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전략도 중요합니다. 다음은 직장 내 성차별을 극복하고 워라밸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 개인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해결책
🔸 직장에서 적극적으로 목소리 내기
- 업무 성과를 명확히 기록하고, 승진이나 평가에서 차별을 받는다면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
- 육아로 인해 업무 기회가 줄어들지 않도록 자신의 역할과 능력을 적극적으로 어필
🔸 성평등 조직 문화 개선에 동참하기
- 내부적으로 성평등 관련 토론회, 워킹맘 네트워크 등에 참여하여 의견 개진
- 조직 내 다른 여성들과 협력하여 공동의 목소리 내기
🔸 멘토링 및 네트워크 활용하기
-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업계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멘토링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
- 다른 워킹맘들과 정보 공유를 통해 더 나은 근무 환경을 모색
📌 핵심 포인트:
워킹맘 개개인의 적극적인 대처와 조직 내부의 연대가 성평등을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마무리: 워킹맘이 행복한 직장이 곧 성평등한 직장이다!
직장 내 성평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 기업, 사회 전체가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워킹맘이 직장에서 차별받지 않고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정책 개선과 조직 문화 변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 오늘의 핵심 정리 🔹
✅ 워킹맘이 겪는 성차별 사례: 승진 및 평가 불이익, 유연 근무 편견, 조직 문화 차별
✅ 성평등을 위한 정책 변화: 출산·육아휴직 보장, 탄력 근무제 확대, 승진 기회 보장
✅ 개인의 해결책: 적극적으로 목소리 내기, 성평등 조직 문화 조성에 동참, 네트워크 활용
워킹맘이 일과 가정을 모두 지킬 수 있는 사회, 함께 만들어 가야 하지 않을까요? 😊